지난 26일부터 2020학년도 원서접수가 시작되었습니다. 점수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경쟁률을 끝까지 보고 지원하는 수험생들이 많습니다. 이런 때 참고하실만한 자료가 있어 올려드립니다.
이투스교육에서 발표한 2018, 2019학년도 정시 날짜별 경쟁률 검색기입니다.
일부 대학의 모집단위들의 경우 선발 인원을 다 채우지 못해 미달이 나는 경우가 있어 마지막까지 경쟁률을 지켜보다가 지원하는 것이 꼭 무의미하다고 볼 수만은 없지만 이런 현상이 우려스러운 것은 점수 등과는 상관 없이 무조건 미달 혹은 펑크만을 노리면서 무분별하게 지원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점입니다. 경쟁률 정보도 매우 중요한 자료이지만 그것만을 보고 지원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지원전략이라는 점을 꼭 명심하시면 좋겠습니다.
경쟁률 참고 시 주의하셔야 할 사항을 몇 가지 정리해 보자면,
1. 대학에서 원서접수 마감일에 발표하는 최종 경쟁률에 현혹되지 말 것. 앞서 말한 것과 같이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여러 이유에서 원서 접수 마지막 날 지원을 하기 때문에 이전의 경쟁률과 크게 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직전 경쟁률이 너무 낮거나 높다면(특히 너무 낮다면) 한 번 더 주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2. 소수 인원을 모집하는 학과는 훌리를 조심하자. 올해 홍대 등 일부 대학에서 입시 부정행위자로 적발된 내용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일부 학생들이 소수인원을 선발하는 모집단위에 허수 인원을 대거 지원하도록 조작하여 경쟁률이 매우 높아보이게 한 후 본인만 지원하는 전략을 구사하기도 했습니다. 안그래도 모집인원이 적어 변수가 많아 불안한 수험생들은 초반부터 경쟁률이 높게 올라가면 지원하는 것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학과를 지원하고자 마음을 먹었다면 이미 소신 또는 상향 지원을 고려하고 지원하는 것일텐데요. 저런 작전 세력들에 휘둘리지 않도록 지원 전에 꼼꼼히 해당 학과 지원자들의 예상 점수 등을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고 소신껏 지원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3. 진학사 모의지원 경쟁률도 확인하자. 정시 지원에서는 거의 디폴트 값으로 확인하게 되는 자료가 있습니다. 고속성장분석기와 진학사 모의지원이 그것입니다. 고속성장분석기는 각 대학별 환산점수와 전년도 입시결과 등을 상당히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올해 학생들의 지원 경향이나 경쟁률 등에 대한 정보는 얻을 수가 없습니다. 반면, 진학사 모의지원은 고속성장분석기보다 불편하기는 하지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물론 유료니까 그래야 하는 측면도 있겠죠.) 특히 모의지원을 살펴보실 때 배터리 칸수도 보시겠지만 전년도와 올해 예상 경쟁률, 그리고 현재까지 모의지원자들의 경쟁률도 꼼꼼히 살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유독 모의지원자가 많은 대학 또는 학과가 있다면 정시 지원 시 주의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해당 대학, 학과의 대학 환산점수가 독특하거나 수험생들의 성적 분포 구조상 유별나게 유리한 대학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의 경우에는 특히 시립대와 고려대가 눈에 띄네요. 물론 다른 대학들도 있습니다만... 여튼 모의지원자들을 통해 올해 학생들의 지원 경향 등을 살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 외에도 정시 지원 시에는 고려하셔야 할 점이 많습니다. 따라서 경쟁률과 전년도 충원률 등 일부 자료만 보시고 지원하기 보다는 보다 다양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정시 지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입시 자료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수시 결과] 서울시립대 2020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 분석 결과 (0) | 2020.01.23 |
---|---|
[대교협] 2021학년도 대입 Start!(feat. 2021학년도 대입정보 119) (0) | 2020.01.08 |
[이투스] 2017~2019학년도 정시합격점수검색기 (2) | 2019.12.24 |
[실채점] 2020학년도 정시 지원 배치표(Lumiere2020 .feat 고속성장) (0) | 2019.12.19 |
[실채점] 대성학원 2020학년도 정시 지원 참고자료(배치표) (0) | 2019.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