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 SSUL

통합수능이 어쨌다고? J학원은 왜 악의적 기사 보도를 계속 내보내는 걸까?

Ipsiteller 2022. 6. 14. 17:57
반응형

지난 3월 "통합 수능은 대입을 어떻게 바꿨나? 수시 지원 판단이 어려워졌다"라는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해당 글에서 우려했던 일이 결국 발생하고 말았습니다. 

 

대교협과 대학은 고민 없이 전년도 입시 결과를 발표했고, J학원은 이를 이용하여 악의적인 기사를 작성하여 배포했습니다.

이데일리, 2022.06.14. "문이과 통합수능, 서연고 서열마저 바꿨다"

 

문·이과 통합수능, 서·연·고 서열마저 바꿨다

문·이과 통합 체제로 시행되는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첫 모의평가가 실시된 지난해 6월 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여자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OMR 카드를 작성하고 있다.(사진=뉴시스)

n.news.naver.com

이게 악의적인 것이 아니라면... 무능한 겁니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입시 학원이라는 곳이...

 

 

어디가(adiga.kr)에서 공개한 서울대와 한양대의 인문계열 모집단위의 2021, 2022학년도 정시 모집의 평균 백분위 발표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최종 등록자 70%cut 평균 성적 기준)

그래프에서 보시는 것처럼 서울대는 2021학년도에는 96~99%정도에 대부분의 학과가 분포했었는데, 2022학년도에는 94~97%수준으로, 한양대는 2021학년도에 93~96% 수준에서 89~94%수준으로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평균 백분위의 하락은 지난 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당연히 예상되었던 사항입니다. 

 

"실제 정시에서 활용하는 대학환산점수는 백분위보다 표준점수를 활용하기 때문에 평균 백분위가 같더라도 환산점수 상으로는 큰 차이가 나게 됩니다. 결국 미적/기하 선택자들은 동일한 평균 백분위 성적으로도 더 높은 대학 환산점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확통 선택자에 비해 유리한 입시 결과를 얻게 되었습니다.(물론 이는 단순히 과목 선택에 따른 이점이 아니라 그만큼 수학 과목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 결과이기 때문에 단순히 미적/기하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정시에서 중요한 것은 백분위를 기준으로 하는 성적이 아니라 대학별 환산점수입니다.

즉, 낮은 백분위 성적이라고 하더라도 대학 환산점수는 높을 수 있습니다. 이는 대학 환산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영향인데...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를 비롯한 주요 대학에서는 대부분 수능 성적 중 표준점수를 활용하여 환산점수를 산출하게 됩니다. 

 

미적/기하 선택자들의 경우 수학 과목을 잘 보았지만 탐구 과목을 망치게 되는 경우 인문계열로 교차지원하게 되면 수학 과목에서의 표준점수 차이로 인하여 인문계열 학생들에 비해 유리한 성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작년에 에듀동아에 실렸던 기사 자료를 참고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에듀동아, 2021.12.28, "표준점수 유리한 이과생 교차지원, 문과생 희망 없다? 모의지원 결과보니..."

 

표준점수 유리한 이과생 교차지원, 문과생 희망 없다? 모의지원 결과 보니…

 올해 정시모집에서 가장 주목되는 변수는 자연계열 수험생의 인문계열 교차지원이다. 문·이과 통합형 수능이 처음 치러지면서 수학, 탐구영역 선택과목 구분상 자연계열로 분류할…

www.edudonga.com

 

그런데 이런 정시 성적 산출 구조에 대한 설명 없이 그저 백분위 성적이 하락했고, 그로 인해 대학 서열까지 바뀌었다는 등 악의적인 기사를 발표하는 J학원은 그 의도가 의심스럽습니다.

 

이런 점들이 우려되어 지난 글에서 

이렇게 언급했습니다만...

결국 대교협과 대학은 이런 부분에 대한 자세한 언급이나 고려 없이 결과를 발표하였고,

J학원은 이런 자료를 악용하여 수험생들에게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이미 보도자료는 여기 저기 올라가고 있는 상황에서...

수험생과 학부모님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은 기사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 노력하는 것 밖에 없어 보입니다. 

 

데이터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좋아지는 점도 있지만 분명 안 좋아지는 점이 있기 때문에

어느 때보다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중요해 지는 때 입니다.

 

부디, 수험생과 학부모님들께서는 저런 기사에 일희일비 하지 마시고 지금까지 해 왔던 대로 학업에 집중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